해외 사회적 기업 사례 - 피프틴과 블린데쿠
해외의 '사회적 기업' 사례 2가지를 간단히 살펴보고, 해외의 '사회적기업' 사례에 대해 그만 알아보려 합니다. 이번에 만나보게 될 '사회적 기업'은 피프틴과 블린데쿠입니다. 먼저 피프틴을 살펴볼까요? 영국의 북런던에 있는 허름한 건물 4층에서 식당 '피프틴(fifteen)'이 문을 연 것은 2002년 12월입니다. 지금도 이 피프틴에서 식사하기 위해서는 3개월 정도 전에 예약을 해야 하는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데요. 과연 그 비결은 무엇일까요? 축구스타 베컴이나 전설적인 비틀스만큼이나 유명한 영국 출신의 요리사 제이미 올리버가 운영하는 피프틴은, 지금은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2004년 설립)에도 그 분점이 개설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레스토랑의 설립목적과 미션은 이들이 직원을 모집하는 그 공고문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직업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집이 없거나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다면 대환영입니다. 학교를 중퇴한 사람도 좋고, 경찰서에 잡혀 갔다 온 경험이 있거나 교도소를 다녀온 사람도 물론 환영한다. '라고 쓰여 있습니다. 단지 오갈 데 없는 청소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피프틴 레스토랑의 인기를 설명하기는 부족합니다. 피프틴은 일자리뿐만 아니죠, 맛있는 요리와 훌륭한 서비스를 통해서 수익을 올리고, 거기서 발생한 이윤으로 불우한 청소년들의 교육과 자립을 돕겠다는 그런 의지를 가지고 있는 거죠. 그들의 말과 같이 음식으로 사회의 어두운 곳에 희망과 사랑을 전하는 '사회적 기업'입니다. 2002년 당시 제이미 올리버와 최초로 함께 레스토랑에서 교육과 실습, 그리고 직접 근무했던 사람의 숫자가 15명이었습니다. 그래서'피프틴 레스토랑'이라고 명명되었던 것이죠. 현재까지 약 400명이 그 과정을 수료를 했고, 그중의 80% 정도가 레스토랑에 남아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문 요리사로서 당당한 사회 구성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보실 영상은 콘윌( Cornwall)의 피프틴 레스토랑의 모습입니다.
블린데쿠
블린데쿠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혹시 '어바웃 타임'이라는 영화를 보셨나요? 그 영화에서 두 주인공이 처음 만나는 장소로 암흑 레스토랑이 나오는데요. 오늘 수업에서 제가 마지막으로 소개할 '사회적 기업'이 바로 이 암흑레스토랑인 '사회적기업' 블린데쿠입니다. 한국의 사회적기업 사례에서도 우리가 살펴보았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는 안마업에 대부분 국한되어있고, 직업 선택권이 거의 없습니다. 외국의 경우는 어떨까요? 영국의 경우는 시각장애인이라 하더라도 피아노 조율사나 점자 번역가나 콜센터 직원이나 IT전문가나 보조기기 판매자나 등등과 같은 비교적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고, 또 그들을 위한 다양한 직업교육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장애인은 도움을 받는데 그치는 대상일까요? 지금 소개하는 사례를 여러분들 보시면 그 생각이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블린데쿠'라는 사회적기업인데요. '눈먼 소'라는 뜻의 이 레스토랑은 1997년 스위스 쮜리히에서 처음 설립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들은 이 암흑의 공간에서 가이드와 서빙을 하면서 일자리를 제공받게 됩니다. 암흑 속 전문가들인 시각장애인들은 암흑의 세계로 찾아온 고객들을 위해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서 암흑 속에서는 가장 경쟁력 있는 직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죠. 고객들은 어둠속의 식사와 시각 장애 체험을 통해서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됩니다. 블린데쿠 쮜리히 레스토랑에는 현재 30명 정도가 고용되어 있고, 2005년 새로 문을 연 바질에는 또 다른 30여명의 직원이 고용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블린데쿠
블린데쿠와 매우 유사하지만 레스토랑 형태는 아닙니다. 시각장애 체험 워크숍을 하는'Dialogue in the dark (어둠 속의 대화)'이라고 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엔비젼스(NHN Social Enterprise㈜)라고 하는 '사회적기업'이 2010년 인증을 받고, 어둠속의 대화와 관련된 전시 기획과 운영을 하고 있음을 참고로 말씀드립니다. 지금까지 해외의 '사회적 기업'들의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어떠신가요? 참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생각하지도 못한 독특한 아이디어와 함께 '사회적 기업'이 발달하고 있지요? 저는 모든 사람은 각자가 잘 할 수 있는 분야가 하나 이상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분야를 제공을 하고, 직업의 그 한정적인 어떤 그 장벽을 낮추어서 모두에게 일자리를 찾아주는 것 역시 '사회적기업'이 감당하고 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미혼모와 출소자 등 특수한 환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그런 '사회적 기업'에 관한 아이디어를 하나씩 내어보는 것은 어떨까 이렇게 제의해봅니다.
'사회적 기업, 기업 혁신, 국내외 기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사회적 기업 사례 - 아라빈드 안과병원 (0) | 2022.07.04 |
---|---|
해외 사회적 기업 사례 - 빅이슈 (0) | 2022.06.28 |
한국 내에서 사회적 기업 성장 과정 (0) | 2022.06.28 |
사회적 기업의 한국 내에서 성장 배경 (0) | 2022.06.27 |
사회적 기업 인증방법과 지원내용 (0) | 2022.06.27 |